※ 이 글은 UnrealEngine5 프로젝트 협업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"소스버전관리"에 도움이 되고자 올리는 글입니다
[1-1] UE5와 P4V 서버구축에 이어서 UE5 소스 컨트롤 연동하는 방법을 전달하고자 한다.
https://docs.unrealengine.com/4.27/ko/Basics/SourceControl/
소스 컨트롤
소스 컨트롤 기능에 대한 개요서입니다.
docs.unrealengine.com
소스컨트롤은 언리얼 문서에도 자세히 나와있으니 해당 링크로 따라해도 아무 문제없다!
1. Visual Studio 실행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PzOm/btrYdjthnBA/T1K0ALBSlaBtsjtKkRK4Nk/img.png)
P4V 테스트를 위해 공유할 샘플 프로젝트[라이라]를 올려놓았다.
솔루션(.sln) 파일을 실행한다.
2. P4VS (Helix Plugin for Visual Studio) 설치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vGImY/btrX2V82MCM/yTEtIj1ScMZw1pkeddqCG0/img.png)
Visual Studio 에서 "확장"탭에 들어가 "확장관리"를 실행한다.
왼쪽 온라인에서 p4v를 검색한다.
P4VS-Helix Plugin for Visual Studio를 다운로드 받는다.
다운로드 받은 후 VS를 닫으면 플러그인이 자동설치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pv5e/btrYaouRLaF/DJmBUtoubHoukwZukKDXP1/img.png)
설치완료 후 -> VS 재실행 후 -> VS 공백란을 우클릭 후 -> "Helix Connection"을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ubdvU/btrX32UeNVf/6TUqWFWKraFiOOIHN2ncZk/img.png)
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놓는다. 지금보면 Helix Core: OFFLINE인데 해당 프로젝트가 퍼포스(P4V)
연동이 안되어 있다는 뜻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C8ph/btrX6i9R9o1/Y17ezV5BDniqChRH6yp6B1/img.png)
Server IP와 User 이름 그리고 Workspace의 Browse를 클릭해 받아놓은 워크스페이스를 연동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Aksu/btrX4mEVtuu/u3TCtSBAV8nkXA5CdyZp6K/img.png)
여기까지 왔다면 퍼포스(P4V) 연동완료!!
여기까지 VisualStudio 퍼포스(P4V)연동은 완료가 되었다.
그러면 .uproject를 실행해보자.
3. UE5 소스컨트롤 연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Tm6F/btrX7YcfvrT/4UeR5hMAGVlWuYb5bcHcd0/img.png)
우측 하단의 "소스컨트롤"을 클릭하고 "소스컨트롤에 접속"을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EJmU/btrX8iuV5DK/QAPChIAIT0kyP5XdVE7xNk/img.png)
"소스 컨트롤 로그인"창에서 Perforce를 클릭한다.
필요한 내용 서버, 사용자명, 워크스페이스를 입력한다. 입력 후 세팅수락을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Co5ZW/btrX6hb3Dks/t23wxQLCzbFE8lqynpBuy1/img.png)
우측 하단 소스컨트롤에 "녹색체크"가 되어있다면 무사히 퍼포스(P4V)연동에 성공했다는 뜻이다!!
4. UE5 퍼포스(P4V) 서밋 테스트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MXS4/btrX7Y4pnLq/2soEV28UBRSEqhq8bpe9Ck/img.png)
라이라 샘플 프로젝트에서 아무 "데이터 에셋"파일을 우클릭하고 소스컨트롤->체크아웃을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cS01/btrX2Xsh5eX/Lu0ojkuy8rghfG6GB2LjP1/img.png)
내부 데이터에 아무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5YuG/btrX2WNFs65/hAhElOUEUDYmNTObAtQIkK/img.png)
그리고 퍼포스(P4V)를 실행하여 View탭에 Pending을 확인해보면 방금 체크아웃한 "데이터에셋"
파일이 들어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5UeTq/btrX8iVYn3S/Ycscxf7Kit9iR1EB1TmxT0/img.png)
해당 PendingList를 선택하고 우클릭 후 ->Submit을 클릭하면 Description 작성 후 Submit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bqwP/btrX3rfAKLp/DACuzvMZUcRkVfQMaHamp1/img.png)
퍼포스(P4V)히스토리를 통해 Submit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.
이러면 모든 UE5와 퍼포스(P4V)의 소스컨트롤이 끝난것이다.!!
마음껏 프로젝트를 협업하면 된다!! (그것도 무료로!!)
다음시간에는 UE5에서 디버깅에 사용하는 매크로, 로그(Log)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.
그럼 다음 이 시간까지..
(혹시나 티스토리 내용과 관련해서 수정사항이나 질문사항을 알려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)
'UnrealEngine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-3] UE5 디버깅에 도움이 되는 매크로 (Assert) (0) | 2023.02.06 |
---|---|
[1-1] UE5 프로젝트를 위한 퍼포스(P4V) 서버구축방법 (1) | 2023.01.28 |